'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13건

  1. 2008.11.12 "전격전의 전설"을 소개하며
  2. 2008.11.12 모차르트를 소개하며
  3. 2008.11.12 독소 전쟁사 1941~1945를 소개하며
전격전의 전설전격전의 전설 - 10점 칼 하인츠 프리저 지음, 진중근 옮김/일조각

2008년이 시작되지마자 일조각에서 "전격전의 전설"이라는 이름으로 "Blitzkrieg legende"의 한국어판을 내놓았습니다. "Blitzkrieg legende : Der Westfeldzug 1940"는 1996년, 독일 연방군 산하의 MGFA(Militärgeschichtliches Forschungsamt : 군사사 연구소쯤으로 번역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에서 편찬한 Operationen des Zweiten Weltkrieges(2차대전기 작전들) 시리즈의 두번째로 나온 책으로 1940년 5~6월 독일군의 프랑스침공작전에 대해 다루고 있는 책입니다.

저자인 칼 하인즈 프리저 (Karl-Heinz Frieser) 독일연방군 육군 대령은 보병장교로 임관한 후 뷔르츠부르크Wurzburg 대학에서 정치학과 역사학을 전공했으며 1981년에 박사학위를 취득, 3년간 기계화보병중대장으로 복무한 후 1985년부터 MGFA의 사회과학부 연구원으로 현재 제1.2차 세계대전 연구부의 책임자를 맡고 있습니다. 지난 2006년 4월에는 Ardennen, Sedan: Militärhistorischer Führer durch eine europäische Schicksalslandschaft를 출간했고, 작년 9월에는 MGFA의 제2차 세계대전 준 공간사, Das Deutsche Reich und der Zweite Weltkrieg (독일과 제2차세계대전 시리즈) 시리즈 제8권, Die Ostfront 1943/44: Der Krieg im Osten und an den Nebenfronten (동부전선 1943/44: 동부와 측면전선에서의 전쟁)을 공저 출간한 바 있습니다. (준 공간사라고 표기하는 이유는 현재의 독일 연방군(Bundeswehr)이 독일 국방군(Wehrmacht)를 계승하지 않았다고 밝히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번에 번역된 "Blitzkrieg legende : Der Westfeldzug 1940"는 제목 그대로 각국에서 기동전의 모범적 사례로 널리 교육되고 있는 1940년 5~6월, 독일의 침공전을 다룬 책입니다. 1940년 프랑스 전역을 다룬 책이나 다큐멘터리라는 것들이 워낙 많았던지라, 도대체 새로운 책이 나올 수 있긴 한가 하는 의문을 갖게 하기에 충분했지요. 사실 MGFA가 보여줬던 강력한 포스는 이 책에도 충분한 가치가 있을 거라는 기대감을 높여줬지만 다른 시각으로 보자면 해당 영역을 다룬 MGFA의 또다른 저작, Das Deutsche Reich und der Zweite Weltkrieg 시리즈 제2권, Die Errichtung der Hegemonie auf dem europäischen Kontinent[유럽 대륙의 헤게모니 장악]가 준 실망감도 만만치 않았습니다. 발간 기간의 한계 때문이었는지 기존의 저작들을 벗어날 수준은 아니었거든요. 어쨌건 주먹구구로 고민해봐야 답은 나오지 않는 법, 독일 아마존에 과감히 주문했습니다.

독일 아마존에서 도착하자마자 풀어본 이 책의 포스는 과연 엄청났습니다. 1940년 5~6월 프랑스 및 서부유럽 전역의 실상과 그 실제적인 이유를 날카롭게 분석함으로서 독일군이 승리한 것은 어떤 치밀한 작전계획, 나아가 전격전이라는 새로운 개념의 전술을 채용해서가 아님을, 나아가 전격전이란 통념 자체가 실제론 허구에 불구함을 밝히는 날카로운 분석을 선보였던 것이죠. 군데군데 박힌 컬러풀한 지도가 전황의 이해에 더욱 도움이 되었음은 물론입니다.

하지만 단점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스당의 패배 이후 가믈랭이 언급한, "숫적 열세, 장비의 열세, 전술의 열세"에서 숫적 열세, 장비의 열세는 사실이 아니었음을 밝히는 과정에서 조금 억지스러운 부분이 있습니다. 정확히 말하자면 독일군의 장비는 연합군과 동등하거나 약간의 열세 수준이었는데도 장비의 절대적 열세..로 보일 수 있는 분석은 조금 문제가 된다고 봅니다. 그러나 이러한 단점을 감안해도 전반적인 가치만으로 판정하라면 군사사에 관심있으신 분에게는 절대적으로 추천할만한 저작입니다. 한 마디로 "이 책을 읽어보지 않은 자, 감히 1940년 프랑스 전역을 논하지 말라!"... 수준의 저작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런 인상대로 이 책이 남긴 반향이 꽤 컸는지 2003년 3월에는 일본의 中央公論新社에서 "電撃戦という幻(전격전이라는 환상)"(상권), (하권)이라는 제목으로 일본어판이, 2005년 10월에는 미국의 Naval Intitute Press에서 Blitzkrieg legend: The 1940 Campaign in the West라는 제목으로 영문판이 나왔습니다. 비교와 보충을 위해 지른 영문판이 도착하고 내용에 대한 전반적인 그림이 머릿속에서 그려질 무렵인 2006년 초반, 일조각에서 한국어판이 나온다는 소식이 들렸습니다. 반가운 마음도 들었습니다만 그걸 번역하는 사람이 현역 군인이라고 하더군요. 그 때문에 한편으론 번역의 퀄리티에 대한 일말의 우려도 있었습니다. 그리고 마침내 해가 바뀌고 책을 보았습니다.

걱정한 것보다는 번역문이 매끄럽고, 특별한 전문용어를 제외하면 눈에 띄는 오류를 찾기가 힘들었습니다. 굳이 문제삼고 싶은 표현이라면 173페이지부터 등장하는 클라이스트 기갑군이란 표현입니다. 정확한 표현은 클라이스트 기갑집단이고, 이후 내용은 이 클라이스트 기갑집단이 기갑군으로 인정받지 못했기 때문에 벌어지는 문제들을 다루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후 전개될 내용과 상치되는 표현인 클라이스트 기갑군으로 쓴 것이 조금 아쉽더군요.

또 하나 문제삼을 만한 것은 표지입니다. 퀄리티는 매우 고급스럽습니다만 이 시기에 쓰이지 않은 장포신형 4호전차가 표지를 차지한 것은 다소 아쉽습니다. 책의 내용에 맞게 초기형 4호전차가 나왔거나 슈투카가 나왔으면 어떨까 싶은 아쉬움이 있네요.

그외 눈에 띄는 단점이라면 38,000원에 달하는 가격이겠습니다. 다소 비싸게 생각되긴 합니다만 독일어판을 구하려면 42 유로, 영문판으로는 (아마존 할인을 걸고) 42달러가 소요되니 한글로 된 이 책을 구매하는 것이 경제적으로도 이득이겠습니다.

아울러 한국의 실정에서 또 하나 우려되는 것이 있습니다. 국내에선 기존의 시각을 잘 정리한 서부전역 전사책이 없었기 때문에 이 책으로 깰 수 있는 기존의 통념조차 형성되지 않은 척박한 환경입니다. 문제조차 제시되지 않은 환경에서 해답이 나와 버린 상황이랄까요? 때문에 이 저작이 가진, 역사적 군사사적 심도를 알아보기가 쉽지 않을 거 같다는 우려입니다. 하지만 그것이 어찌 이 책이 책임질 일이겠습니까? 결론적으로 별 다섯에 다섯개를 주고 싶은 절대적으로 강력히 추천할만한 저작입니다.

 
Posted by 우마왕
,
모차르트 - 전4권 세트 크리스티앙 자크 지음, 성귀수 옮김/문학동네

맨 처음 접했던 크리스티앙 자크의 책은 1997년 말 이집트의 파라오, 람세스 2세의 일대기, 람세스다. 아버지이자 굳건한 파라오인 세티를 만나는 광경으로 시작한 이 저작은 고대 이집트를 배경으로 세티의 배우자이자 현명한 어머니로 한 점 꿀림이 없었던 이집트 왕비 투야, 우정으로 람세스를 도왔던 그의 친구들, 아메니, 아샤, 셰타우, 모세, 그리고 람세스의 여인들 이제트와 네페르타리, 그리고 람세스의 적으로 등장했던 여러 인물들 - 람세스의 교만한 형 셰나르와 누나 돌란테, 히타이트왕 하투실, 그 왕비 푸투헤파. 그렇게 람세스가 만난 실존한 인물과 가공의 인물들이 교차하며 각자의 매력과 개성을 뽐내고, 그 속에서 람세스의 재능을 성장시키는 세티의 가르침과 그 가르침을 바탕으로 성장하여 왕자로, 서기관으로, 장교로, 섭정공을 거쳐 파라오로 성장하여 마침내 이집트와 파라오를 넘어서 적조차 감탄시키는 전설이 되어버린 이집트의 황금 시대를 만든 람세스 2세의 발자취가 만화경처럼 눈 앞에 선연히 펼쳐지는 것 같은 문자의 매력을 부정할 수 있는 자가 과연 얼마나 되었을까?

물론 글로 보여진 람세스의 모습이 역사 그대로는 아니었으리라. 당시 이집트의 모습이 글에 그려졌던 천국이나 축제의 낙원도 아니었으리라... 하지만 읽는 사람을 감동으로 이끌고, 비록 한 때에 지나지 않았다 해도 이 동쪽 구석의 나라에 이집트 열풍을 만들어냈다면 그것으로 충분하지 않을까? 그 뒤로도 크리스티앙 자크는 3천년전 고대 이집트를 배경으로 재능을 갖고 있던 인물들이 그 속에서 성장하고 자라며 달인이 되는 이야기(빛의 돌)를, 혹은 왕조의 교체속에서 갈등하고 부딪히며 끝내 꺾이지만 기억에 남는 인물의 이야기(태양의 여왕)를 써내며 이렇게 이집트를, 이집트 문명을 한국인들의 기억속에 심어왔다.

그러했던 크리스티앙 자크가 들고 나온 새로운 소설의 테제는 천재음악가 볼프강 아마데우스(고트프리) 모차르트다. 글의 무대도 크리스티앙 자크가 주로 쓰던 고대 이집트에서 3천년의 시간을 뛰어넘은 근세의 유럽을 그 무대로 하고 있다. 아마도 크리스티앙 자크가 모티브를 얻은 것은 모차르트의 마지막 대작 오페라, Die Zauberfloete(魔笛:마술피리)의 파격일 것이다. 이전의 다른 오페라에 비해 비기독교적 색채가 강한 이 오페라는 모차르트가 프리메이슨이었다는 증거로 인용되기도 하는데 크리스티앙 자크도 그 부분에 촛점을 맞춘 듯 하다. 보다 명확히 말하자면 모차르트의 예술적 천재성은 그 자신의 천재성을 바탕으로 아버지인 레오폴트의 교육에 못지 않게 고대 이집트의 비전에 영향을 받았다는 것이 크리스티앙 자크의 주장이다.

소설은 모차르트의 삶을 날짜별로 추적해나가며, 몇 날 몇 시에 그가 무엇에서 영감을 받아 어떤 음악을 작곡했으며, 그의 여정이 어떠했는지를 꼼꼼히 기록해 나간다. 동시에 토트의 서, 연금술의 궁극을 배우고 이집트의 헤르메스 수도원에서 탈출, 대마법사를 찾아내라는 사명을 받은 이집트인 타모세가 모차르트를 이끌고 프리메이슨으로 이끄는 과정을, 그리고 이집트의 비전에 빠져든 모차르트가 세상을 깨우는 천재적인 음악을 만들어내는 과정을 기술해간다.

하지만 이 책은 불행히도 모차르트에 대해 전혀 모르는 초보자가 읽기엔 그다지 바람직하지 않다. 다시 말해 모차르트와 그의 음악들에 대해 어느 정도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에겐 어느 음악이 어떤 의도에서 만들어졌다는 것을, 그것이 이집트 비전의 영향을 받았던 것인가...라고 회상하며 즐길 수 있지만 모차르트의 음악에 대해 전혀 알고 있지 못한 사람에겐 좀 딱딱하다. 이는 아마도 모차르트가 너무나 유명한, 교과서를 시작으로 워낙 많이 접하지만 그 정보만으로는 모차르트를 파악하기 어렵다는 것을 상기해보자. 더욱이 모차르트의 모습을 강렬하게 정형화한 미디어가 있다. 아마도 1984년에 개봉된 영화,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다. 그 원작인 섀퍼의 연극에서 그려졌던 대로 경박하고 꾸밈없는, 동시에 순진한, 뭐랄까 자기만의 세상속에 빠져있는 천재의 전형적인 모습으로 그려진 모차르트 말이다. 하지만 크리스티앙 자크의 책은 경박한 천재라는 모차르트에 대한 선입견과 달리 깊이 있고 노력하는 모습이 보이는, 즉 달인으로 성장해가는 모습을 보이는 모차르트를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 하나의 문제점은 크리스티앙 자크가 일대기 형태의 성장 이야기를 잘 쓴다는 점에 있다. 성장하는 이야기를 마주친 독자, 혹은 청자는 다음 두가지를 기대한다. 대상의 천재성을 발견한 이전 세대의 누군가에 의해 그 천재성이 개화되도록 교육받고, 그 교육속에서 노력하며 한계와 편견을 극복하여 마침내 스스로의 능력으로 세상을 이끄는 그런 존재로 성장하는 모습을 기대한다. 하지만 이런 스토리가 어울리지 않는, 비록 그의 음악은 시대를 뛰어넘어 지금까지, 그리고 앞으로도 살아남겠지만 현실의 질고를 벗어나지 못한 채 지독한 시기와 모략의 대상이 되어 버린 채 끝나버린 현실에서의 모차르트의 삶은 성장 스토리의 구도와는 정면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때문에 성장스토리적인 감동을 바랬던 독자에겐 카타르시스를 주지 못하는 이 소설이 굉장히 답답할 수 밖에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모차르트에 대해 알고 싶은 사람이라면 한 번쯤 이 소설을 읽어볼 것을 권하고 싶다. 물론 나는 모차르트의 실체가 아마데우스에서 그려낸 경박한 천재였는지, 이 책에서 그려낸 대로 이집트 비전에 입문한 천재이자 달인이었는가에 대해 평가하지는 않겠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모차르트의 진실에 대한 또 하나의 가능성 높은 시각을 볼 수 있다는 것에는 충분한 의의가 있는 책이라 생각한다. 최소한 그가 처했던 삶의 상황이 어떤지에 대해서 생각해볼 기회를 줄 수 있기 때문이다.
Posted by 우마왕
,
독소 전쟁사 1941~1945 데이비드 M. 글랜츠,조너선 M. 하우스 지음, 윤시원.남창우.권도승 옮김/열린책들
 
최근 열린책들에서 "독소전쟁사 1941-1945"라는 이름으로 "When Titans Clashed"의 번역서가 발매되었습니다. 원본인 "When Titans Clashed"는 소련군에 관한 한 미국 최고의 권위자라 할 수 있는 David M. Glantz(데이빗 M. 글랜츠) 예비역 대령과 조너선 하우스 교수가 쓴 책으로 2차대전 당시의 독-소 전쟁 그 자체에 촛점을 두어 기술한 책입니다.

저자인 David M. Glantz 예비역 대령은 미 육군의 외국군연구소(FMSO:Foreign Military Studies Office) 소장을 역임하며 소련군과 제2차세계대전 당시의 독-소전쟁에 관한 많은 연구성과를 선보였습니다. From the Done to the Dnepr: Soviet Offensive Operations, December 1942-August 1943를 시작으로 한 그의 저작들은 대조국전쟁사를 중심으로 이미 오류로 밝혀진 수십 년 전 자료를 무비판적으로 인용하거나 사료적 근거가 명확하지 않은 전쟁사 서적들의 문구를 단순히 조합하던 서방측 연구자들의 당시 저작들과 달리, 일반 연구자들이 자료 접근에 한계를 갖던 구 소련군 내부 자료를 바탕으로 독-소전쟁의 모습을 재조명하는 계기를 만들어줬다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이번에 번역된 "When Titans Clashed"는 "How the Red Army Stopped Hitler"라는 부제에 걸맞게 독-소전을 개괄적으로 잘 설명한 저작입니다. 독-소전에 대한 최초의 쓸만한 서방측 저작으로는 John Erickson 교수의 "Road to Stalingrad""Road to Berlin"을 꼽을 수 있으나 조금 산만한 서술로 인해 읽기가 좀 어렵습니다. 이에 비해 "When Titans Clashed"는 "Road to Stalingrad"와 "Road to Berlin"의 각주 노트이자 정리서라는 저자의 말대로 내용의 심도가 떨어지지 않으면서도 각 챕터마다 놓여진 상황도, 잘 정리된 여러가지 데이터, 용어해설등이 붙어 있어 한 권으로 독소전을 이해하려는 분들에게 있어 현재까진 최고의 책이라고 감히 말할만 합니다.

물론 단점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소련측 시각을 바탕으로 한 접근은 발간 당시엔 매우 참신한 시도였으나 좀 더 많은 자료가 공개된 지금의 시점에서 보자면 친소련적인 서술에 기인한 오류가 보이기도 한다는 점이 문제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에 나온 2차대전 관련서중 유일하게 독-소 전쟁, 그 자체를 다루고 있는 저작이란 점에서 이 책의 가치를 높이 살 만한 이유는 충분합니다. (리처드 오버리의 "스탈린과 히틀러의 전쟁도 이 책과 마찬가지로 독-소전을 다루고 있으나 전쟁 그 자체에 대한 서술은 사실상 오류에 가깝다 봐도 무방할 지경입니다.)

특히 한국어판을 높게 평가할만한 이유는 기존 번역서들의 역자들이 배경지식의 부족으로 원서를 우리말로 옮기는데 그치는 데 비해 제2차세계대전 유럽전선에 대해 많은 배경지식과 경험을 가진 분들, (페리스코프와 다음 WW2 카페에서 Wenck라는 필명으로 활동했던)남창우님이나 (페리스코프에서 길잃은어린양이란 필명으로 활동했던) 윤시원님 및 (페리스코프에서 다스라이히라는 필명으로 활동했던) 권도승님이 번역을 맡고 국내 최고의 2차대전사 사이트, 페리스코프의 주인장인 채마왕님이 감수를 맡아 원본의 오류들까지도 적절히 지적해줬다는 데 있습니다.

독소전의 실체에 대해 관심이 있는 많은 분들은 망설이지 마시고 과감히 집어드셔도 결코 후회하지 않을 것입니다. 이 책이 번역된 것을 기회로 앞으로 제2차 세계대전에 대한 객관적인 저작들이 좀 더 많이 번역되고, 쓰여질 수 있기를 바랍니다.

p.s... 사실 책의 디자인 자체는 영문판의 강렬한 맛이 사라져서 다소 아쉽습니다.

Posted by 우마왕
,